본문 바로가기
건강

어린이 중이염, 방치하면 위험할까요?

by STAG 2025. 2. 9.
반응형

어린이 중이염

"아이가 귀를 자꾸 만지거나, 이유 없이 울음을 터뜨린다면?"

아이를 키우다 보면 한 번쯤 겪게 되는 질병이 바로 중이염입니다. 특히 감기 후 귀를 아파하거나 열이 나는 경우, 부모님들은 당황하기 쉽습니다. 겉으로는 별다른 상처도 보이지 않으니 더욱 답답하지요.

중이염은 유아와 어린이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귀 질환으로,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청력 저하, 만성 중이염, 심지어 청각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어린이 중이염의 원인, 증상, 그리고 예방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
1. 중이염이란? - 원인과 증상

**중이염(otitis media)**은 귀 안쪽의 중이(중간 귀)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. 주로 감기, 독감, 또는 상기도 감염 후에 발생하며,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입니다.

주요 원인

  • 감기 후 합병증: 어린이는 이관(귀와 목을 연결하는 통로)이 짧고 넓어 세균이 쉽게 침투합니다.
  • 면역력 저하: 면역 체계가 미성숙한 어린이는 감염에 더 취약합니다.
  • 알레르기: 비염, 아토피 같은 알레르기 질환도 중이염 위험을 높입니다.

대표적인 증상

  • 귀를 자주 만지거나 잡아당김
  • 이유 없이 울거나 보채기
  • 고열(38도 이상)
  • 수유 또는 식사 거부
  • 청력 저하, 귀 먹먹함 호소(나이가 많은 아이의 경우)
  • 귀에서 고름이 나오는 경우(심한 염증 시)

사례로, 3살 지윤이는 감기 증상이 나아가는 듯했지만 갑자기 귀를 만지며 보채기 시작했습니다. 열도 오르고 밥도 잘 먹지 않아 병원에 갔더니 중이염 진단을 받았습니다. 초기 발견으로 항생제 치료 후 빠르게 회복했지만, 방치했다면 청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었습니다.


2. 많은 부모들이 오해하는 중이염 상식

"중이염은 무조건 항생제를 써야 한다?"

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. 바이러스성 감염으로 인한 초기 중이염은 항생제 없이도 호전될 수 있습니다. 다만, 세균 감염이 의심되거나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.

"중이염은 감기만 조심하면 예방할 수 있다?"

감기 예방이 중요한 것은 맞지만,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환경적 요인(담배 연기, 건조한 공기)도 중이염의 주요 원인입니다. 감기 외에도 다양한 예방이 필요합니다.

"귀에서 고름이 나오면 청력에 큰 문제가 생긴 것이다?"

귀에서 고름이 나온다는 것은 고막이 터졌다는 의미일 수 있지만, 대부분의 경우 고막은 자연스럽게 회복됩니다. 그러나 재발 방지를 위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.


3. 어린이 중이염 예방 및 관리 방법

1) 감기 예방과 면역력 강화

  • 손 씻기 생활화: 외출 후, 식사 전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 감염 위험을 줄입니다.
  • 적절한 예방 접종: 폐렴구균, 독감 백신은 중이염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.
  • 실내 습도 유지: 건조한 환경은 점막을 약화시키므로, 실내 습도를 40~60%로 유지하세요.

2) 중이염 초기 관리법

  • 통증 조절: 해열진통제(의사 처방 후)로 통증과 열을 조절합니다.
  • 머리 높이기: 수면 시 아이의 머리를 약간 높이면 귀의 압력을 줄여줍니다.
  • 병원 방문: 48시간 이내에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소아과 또는 이비인후과 방문이 필요합니다.

3) 재발 방지를 위한 관리

  • 수유 자세 조정: 눕혀서 수유하면 귀에 액체가 고이기 쉬우므로, 상체를 약간 세운 자세로 수유하세요.
  • 담배 연기 피하기: 간접흡연은 중이염의 주요 위험 요소입니다.
  • 알레르기 관리: 비염이나 아토피 등의 알레르기를 적절히 관리하면 재발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.

결론: 부모의 세심한 관찰이 아이의 귀 건강을 지킵니다

중이염은 어린이에게 흔한 질병이지만, 부모의 빠른 관찰과 적절한 대응으로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 아이가 귀를 자꾸 만지거나 이유 없이 보챈다면, 단순한 짜증이 아닌 건강의 신호일 수 있음을 기억하세요.

부모의 작은 관심과 실천이 우리 아이의 귀 건강을 지키는 가장 큰 힘이 됩니다. 오늘부터라도 예방 수칙을 잘 지키고, 이상 증상이 있을 때는 주저하지 말고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보세요!

반응형